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계약 전,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묻는 핵심 질문 7가지

터프가이드 2025. 9. 8.

처음 하는 부동산 계약, 막막할 때 꼭 알아야 할 기본 정보만 쏙쏙 정리했어요


처음 부동산 계약을 앞두고 있나요?
복잡한 용어, 수많은 서류, 빠르게 흘러가는 진행 속도에 당황하셨을 수 있어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부동산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묻는 질문들만 모아
쉽고 정확하게 답변해드릴게요.
하나씩 체크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계약 흐름도 이해하게 될 거예요.


1. 계약금은 보통 얼마를 내야 하나요?

보통 매매가의 10% 정도를 계약금으로 지급합니다.
이는 계약의 시작을 의미하고, 법적으로도 중요한 효력을 가집니다.

만약 매도인이 계약을 파기하면 2배를 돌려줘야 하고,
매수인이 파기하면 계약금을 돌려받지 못해요.


2. 중도금은 꼭 지급해야 하나요?

중도금은 보통 계약 후 1~2주 내에 납부하며,
계약서에 명시된 일정에 따라 진행됩니다.

만약 잔금일 전까지 전액 납부가 어렵다면
중도금 대출을 활용할 수도 있어요.

단, 대출 여부는 사전에 확인 필수입니다.


3. 계약할 때 반드시 챙겨야 할 서류는?

계약 전후로 챙겨야 할 핵심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계 필요 서류

계약 전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
계약 시 부동산 매매계약서, 신분증
계약 후 영수증, 특약사항 기재 확인서

서류 하나하나가 나중에 법적 근거가 됩니다.
잊지 말고 복사본도 꼭 보관하세요.


4. 등기 이전은 언제 완료되나요?

보통 잔금일 기준 3~7일 이내
등기소를 통해 소유권 이전이 완료됩니다.

법무사에게 등기 절차를 위임하면
절차가 빠르고 오류 없이 마무리되니 초보자에겐 추천돼요.


5. 계약서에 ‘특약’은 꼭 넣어야 할까?

넣어야 합니다. 아주 중요해요!
말로 한 약속은 법적 근거가 약하기 때문에
꼭 계약서의 ‘특약사항’란에 직접 명시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런 내용이 있죠.

  1. 세입자 퇴거 시기
  2. 수리 책임 주체
  3. 대출 미승인 시 계약 해제 조건

6. 계약 중도 파기하면 어떻게 되나요?

파기 주체에 따라 위약금이 달라집니다.

파기 주체 결과

매수인 계약금 몰수
매도인 계약금의 2배 배상

단순 변심은 정당한 사유가 되지 않기 때문에
계약 전에 반드시 신중한 결정이 필요해요.


7. 공인중개사 말만 믿어도 되나요?

공인중개사는 믿을 수 있는 전문가지만,
모든 걸 맡기기보다는 중요한 내용은 스스로 확인하는 게 좋아요.

등기부등본, 세금 체납 여부, 규제사항 등은
인터넷 또는 관공서에서도 직접 열람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계약, 막막하지만 순서만 알면 어렵지 않아요

처음엔 낯설고 헷갈리지만
한 번 순서를 익혀두면 다음 거래는 훨씬 쉬워집니다.

계약 전 꼼꼼히 확인하고,
모든 내용은 계약서에 남기고,
문서와 증빙을 잘 챙기면 안전한 거래가 가능해요.


 

댓글